하나님의교회 순종함으로 받는 축복
왕이 준 씨앗
옛날 어느 나라에 현명한 왕이 있었다.
왕은 백성들이 도덕적으로 얼마나 청렴한지, 왕의 명령을 잘 준행하는지 알고 싶었다.
그래서 백성들에게 꽃씨를 나누어주며 내년 이맘때 꽃을 가장 아름답게 피운 사람에게 큰 상을 내리겠다고 공표했다.
일 년 후, 왕은 백성들에게 각자 가꾼 꽃을 들고 나오라고 명했다.
길가에 나온 백성들은 왕의 행렬 앞에 빨갛고 노란 색색의 꽃이 핀 화분을 들고 있었다.
그런데 유달리 한 소년만 빈손으로 나와서 울고 있었다.
왕이 소년에게 왜 우느냐고 물었다.
소년은 아무리 정성을 쏟아도 이상하게 자기 꽃씨만 싹을 틔우지 않아 자신이 이 나라에서 가장 쓸모없는 존재처럼 여겨져 울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왕은 소년의 머리를 쓰다듬으며 자신이 찾던 사람이 바로 이 소년이라고 선포했다.
사실 왕이 백성들에게 나눠준 꽃씨는 모두 삶은 것으로, 애초에 생명력이 없는 것이었다.
겉보기에는 멀쩡했으나 절대로 꽃이 피지 않는 씨앗을 주었던 것이다.
왕의 말에 순종하고 진심으로 따르는 백성을 찾고 싶었던 왕은 그런 백성이 한 사람이라도 있었다는 데 기뻐하며 소년에게 후한 상을 내렸다.
-출처 https://pasteve.com/seed/
순종하는 백성을 찾으시는 하나님
사무엘상 15장 22~23절
..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것이 수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이는 거역하는 것은 사술의 죄와 같고 완고한 것은 사신 우상에게 절하는 죄와 같음이라
이야기 속 왕 처럼, 하나님께서도 당신을 사랑하며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백성들을 찾으십니다.
신명기 28장 1~6절
네가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삼가 듣고 내가 오늘날 네게 명하는 그 모든 명령을 지켜 행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를 세계 모든 민족 위에 뛰어나게 하실 것이라
네가 네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순종하면 이 모든 복이 네게 임하며 네게 미치리니
성읍에서도 복을 받고 들에서도 복을 받을 것이며네 몸의 소생과 네 토지의 소산과 네 짐승의 새끼와 우양의 새끼가 복을 받을 것이며 네 광주리와 떡반죽 그릇이 복을 받을 것이며 네가 들어와도 복을 받고 나가도 복을 받을 것이니라
우리를 천국으로 인도하시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말씀에 대한 순종은 큰 축복이 되어 돌아옵니다.
그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 말씀 듣기를 즐겨하며 하나님의 계명을 사랑합니다.
요한계시록 14장 1, 4~5절
또 내가 보니 보라 어린 양이 시온산에 섰고 그와 함께 십 사만 사천이 섰는데 그 이마에 어린 양의 이름과 그 아버지의 이름을 쓴 것이 있도다...이 사람들은 여자로 더불어 더럽히지 아니하고 정절이 있는 자라 어린 양이 어디로 인도하든지 따라가는 자며 사람 가운데서 구속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로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속한 자들이니 그 입에 거짓말이 없고 흠이 없는 자들이더라...성도들의 인내가 여기 있나니 저희는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지키는 자니라
예수님의 본을 따라 새 언약을 순종하는 하나님의 교회
예수님께서는 신약시대 하나님의 백성들이 지켜야 할 새 언약 계명들을 친히 본 보여 주셨습니다.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는 하나님의 계명을 지킵니다.(요14:15)
그러하기에 신약시대 하나님을 사랑하는 백성은 예수님께서 본 보이신 그대로 하나님의 계명을 지킵니다.
새 언약의 침례, 안식일, 유월절, 초막절을 지키며 하나님의 말씀 그대로 순종하는 교회는 하나님의 교회입니다.
그러하기에 하나님의 교회는 하나님께서 주시는 풍성한 축복을 받고 있으며 천국의 약속이 있습니다.
하나님께로부터 축복을 받고 싶다면, 하나님의 말씀과 계명대로 순종하는 하나님의 교회로 오세요!^^
'영혼의 힐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나님의교회 안상홍님 구원은 이적과 기사가 아닌 생명의 진리에 (48) | 2020.09.09 |
---|---|
하나님의교회 슬기로운 봉사생활 [개미의 胃] (39) | 2020.09.03 |
하나님의교회 생명수를 주시는 신부는 성도가 아닌 어머니하나님 (37) | 2020.08.19 |
하나님의교회 즐겁게 일하는 방법 [어머니교훈] (40) | 2020.08.11 |
하나님의교회, 십자가의 예언을 통해 깨닫는 십자가의 의의(意義) (38) | 2020.08.07 |